Hodustory/프로그래밍&DB 118

[html/css] 웹페이지 자동 전환 / 파일로 저장 / meta, http-equiv

안녕하세요. 가끔 자료를 정리하다 보면 괜찮는 자료가 몰려 있는 사이트들이 있죠. 이 사이트를 한글이나 엑셀 파일에 적어 저장하는 방법도 있지만 폴더 창에서 클릭해 바로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meta 태그에서 http-equiv와 url 속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파일을 열자마자 url 링크로 바로 전환되죠. 먼저 메모장이나 노트패드를 엽니다. 그 다음 아래의 코드를 붙여넣은 뒤, url 부분만 원하는 사이트의 주소로 바꿔주세요. 그리고 저장해줍니다. 저장할 때 파일 형식을 html로 해주세요. 메모장의 경우, 파일 이름 끝에 .html을 입력하시고, 파일형식은 모든파일로 하면 됩니다. 이렇게 폴더 안에 사이트가 저장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tml/블로그 스킨관리] 코드블럭 스타일 지정 / code-pretty

안녕하세요! 티스토리에 코드블럭이란 기능이 생겼더라구요. 파이썬 코드를 게시글로 올리는 저에게 매우 편한 기능이라 생각했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저는 적용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전 코드블럭 스타일 코드를 제공하는 code-pretty를 이용했습니다. code pretty에는 총 6개의 스타일이 있는데 여기에서 확인해보시고 원하시는 걸 선택하시면 됩니다. 선택하셨다면 블로그 스킨 관리 > 스킨 편집 > html로 들어가 주세요. 그리고 아래에 아래의 코드에 선택한 스타일 이름을 넣은 뒤 붙여넣으면 됩니다. 저장하신 다음엔 글쓰기로 들어가 코드블록을 적용해 글을 작성해 주세요. 작성하신 후 상단 메뉴바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기본모드를 html 모드로 바꿔 주세요. 그러면 작성한..

파이썬(python) try except /오류 발생 넘기기

안녕하세요! 여러 사이트를 스크래핑(크롤링)을 하다 보면... 가끔 집어넣은 주소에 페이지가 없는 경우가 있죠. 무작위로 등장하니;; 프로그램을 돌려놓고 언제 멈출지도 알 수가 없죠;; 이때 오류가 발생하면 그냥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있습니다. 바로 try except 구문입니다. try : 오류가 없는 경우 실행 except : 오류인 경우 실행 try에 실행할 구문을 적어넣고 except에 실패할 때 실행할 구문을 적어주면 오류가 뜨더라도 except 구문을 실행한 후 다음 루프로 넘어가게 됩니다. 예시를 볼까요? 아래의 예시는 오류가 나지 않을 경우 실행하고, 오류가 날 경우는 화면에 'error'만 출력한 후 넘어가는 코드입니다. from openpyxl import load_workbo..

엑셀 셀 병합 해제하고 빈칸 채우기

안녕하세요! 엑셀 작업을 하다보면,,, 보기에는 편하지만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을 가장 불편하게 만드는 기능이 바로 '셀병합'입니다. 오늘은 셀 병함을 해제하고, 해제한 뒤 생긴 빈칸을 채워넣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아래 사진과 같이 셀병합된 데이터가 있습니다. 일단 셀 병합을 모두 해제 해볼까요? 데이터를 모두 선택한 후 상단 메뉴바 > 홈 > 셀병합 > 셀분할을 해줍니다. 그러면 아래 사진과 같이 셀이 분할됩니다. 그러면 이제 빈칸을 채워넣어 볼까요?? 셀 병합을 해제하면 기존의 데이터는 분할된 부분 중 맨 위의 셀에 남아있게 됩니다. 이 성질을 이용해 빈칸을 채워넣을 수 있습니다. 먼저 빈칸들만 선택 해볼게요. 데이터를 전체 선택한 후 상단 메뉴바 > 홈 > 찾기 및 선택 > 이동 옵션을 차례로 클릭..

엑셀 vlookup /연관있는 데이터만 입력하기 /함수

이번엔 엑셀에서 엄청 유용한 기능인 vlookup 함수를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컴활 시험에도 단골 출제 문제이죠. vlookup은 A표를 참조하여 B표의 내용을 채워넣을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아래의 사진과 같이 두 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A는 사람의 이름, 직급, 부서 데이터이고 B는 이름, 부서, 임무등급과 일자에 관한 데이터입니다. 그런데 B의 '부서'란이 비어있죠? 이때 A를 참조하여 한번에 B의 '부서'를 채울 수 있습니다. =VLOOKUP(검색어,검색할 데이터 범위, 검색값이 나올 셀의 번호, 정확도) 설명이 좀 복잡하죠? 좀 더 쉽게 그림으로 설명드려볼게요. 우선 표B의 나루토의 부서를 적어넣어야 한다고 해보죠. 데이터가 있는 A에서 나루토의 부서를 찾기 ..

엑셀 사용자 지정 목록 / 데이터 정렬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신이 원하는 순서로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정렬을 이용하면 흔히 '가나다'나 숫자의 크기에 따라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을 사용하실 텐데요. 이런 순차 이외에 다른 순서로 정렬하고 싶을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회사에서 직급 순에 따라 연락처 데이터를 정렬한다고 해봅시다. "부장, 차장, 과장, 대리, 사원" 순서로 정렬하려고 합니다. 먼저 데이터가 들어있는 셀을 모두 선택합니다. 그리고 상위 메뉴바 > 데이터 > 정렬을 클릭합니다. 정렬 창에서 정렬기준을 '직급'으로 놓고 정렬 종류에서 '사용자 지정 목록'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새 목록을 선택한 후, '목록 항목'에 아래 사진 처럼 입력해줍니다. 이때 각 항목을 enter 키로 구분하여 입력..

엑셀 INDEX MATCH / 조견표(열람표)를 참조해 계산하기 / 함수

안녕하세요! 이번엔 엑셀에서 조견표를 활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려 합니다. 조견표(열람표)란 아래 사진과 같이 계산 기준을 알려주는 표를 말합니다. 그럼 이 표를 기준삼아 4월 임무 수행 수당을 계산해볼까요? 계산하기 전에 먼저 '이름상자'를 통해 범위셀의 이름을 지정해줍니다. 예를 들어 지정안했을 경우, 함수식에 'A3:A7'로 입력해야 하지만, 'A3:A7'을 이름상자로 '임무등급'으로 이름을 지정해주면 함수식에 임무등급이라고만 입력하면 됩니다. 즉 이름상자를 쓰면 범위셀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간편해지겠죠? 그럼 '이름상자' 사용법부터 소개하겠습니다. '임무등급'으로 지정할 범위셀 'A3:A7'을 선택한 후 왼쪽 상단의 이름상자에 '임무등급'이라 입력한 뒤 ENTER를 누릅니다. '닌자등급'과 ..

엑셀 DATEDIF / 날짜 기간 계산하기

안녕하세요. 가끔 날짜와 날짜 사이가 몇일인지, 혹은 몇개월인지를 계산해야 할 때가 있죠. 그 때 함수 DATEDIF를 사용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데이터가 있습니다. 이 3명이 근무기간은 몇년, 몇개월, 몇일일까요? 몇년으로 계산하기 위해선 아래 함수를 입력하면 됩니다. =DATEDIF( 시작일, 종료일, "y") 마지막 "y"는 표기를 '년(year)' 단위로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하면 내림하여 몇년인가를 보여줍니다. 개월수는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DATEDIF( 시작일, 종료일, "m") 그럼 이번엔 몇년 몇개월로 나타내볼까요? =DATEDIF( 시작일, 종료일, "y")&"년 "&DATEDIF( 시작일, 종료일, "ym")&"개월" "ym"은 몇년을 빼고 남은 몇개월을 나타내달라는 ..

엑셀 이동옵션 / 변경된 데이터만 표시하기

엑셀에서 변경된 값만 표시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저는 함수와 조건부서식을 이용해왔는데, 그것보다 간단한 방법이 있더군요. '이동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해보죠. 직원수가 8월과 9월이 다른 지점을 다른 색으로 표시해 보겠습니다. 비교할 값이 있는 각가의 열을 동시에 선택해주세요. 여기에선 8월 직원수(B3:B11)을 선택한 후 ctrl을 누른 채 9월 직원수(C3:C11)을 선택합니다. 그 다음 메뉴바 > 홈 > 찾기 > 이동옵션으로 들어갑니다. 이동 옵션 설정창에서는 '동일 행에서 값이 다른 셀'을 선택해주세요. 이렇게 하면 3행의 B열과 C열을 비교해줍니다. 다시 말해 B3과 C3을 비교해줍니다. 확인을 누르면 아래 사진과 같이 서로 다른 값만 선택된 것을 확..

엑셀 RAND, RANDBETWEEN / 랜덤 함수

안녕하세요. 이번엔 엑셀에서 랜덤값을 입력하는 법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랜덤값 입력은 RAND와 RANDBETWEEN 함수를 이용합니다. 먼저 RAND 함수를 소개할게요 RAND는 0이상 1미만의 아무 값이나 입력해주는 함수입니다. 셀에 =RAND() 라고 입력하면 아래 사진처럼 아무값이나 나오죠. =RAND()에 10을 곱하면 0이상 10미만의 무작위 수가 나오고, 100을 곱하면 0이상 100미만의 무작위 수가 나오죠. 뒤에 따라 붙는 소수점자리의 수를 잘라내고 싶다면 INT 함수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INT( RAND()*10 ) 이라고 입력하면 0~9 사이의 정수 중 아무거나가 나옵니다. 계산식을 생각하려니 조금 복잡하죠? 그럼 좀 더 단순한 RANDBETWEEN을 소개하겠습니다. RA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