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dustory/애니&만화

만화 바텐더 나아가기 : 칵테일 기법과 잔(글라스)

호두밥 2018. 4. 14. 23:41

(사) 한국바텐더협회의 홈페이지에 나온 글에 따르면 칵테일 조주 기법에는 크게 5가지가 있습니다.[각주:1]


1) Building 

재료를 텀블러에서 섞거나, 셰이커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서빙할 잔에 넣은 후 바 스푼으로 휘저어 마무리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데낄라 선라이즈나 올드 패션드가 이 기법을 사용해 만들어지는 칵테일입니다.


2) Stir

재료를 믹싱 글라스에 넣어 바 스푼으로 저어서 만드는 기법입니다. 마티니나 맨하탄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3) Shake

칵테일 하면 가장 많이 떠오르는 기법일 듯 합니다. 셰이커에 재료를 넣어 흔들어서 만드는 기법입니다. 알렉산더, 사이드카 등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4) Float / Layering

술의 재료나 비중을 이용해 층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바 스푼을 뒤집어 재료를 조금씩 흘려 따릅니다. 엔젤 키스 등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5) Blend

재료와 얼음을 믹서에 넣고 갈아 만드는 기법입니다. 프로즌 칵테일 등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이 외에 몇가지 기법이 더 있는데요. 마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각주:2]


6) Pour

pour는 jigger라는 모래시계 모양의 기구를 이용한 방식과,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글라스에 따르는 방식으로 나누어집니다.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따르는 free 방식은 만화 바텐더에서 블랙벨벳을 만들 때 사용한 방식입니다. 신의 기술이라죠.) 아무래도 free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정확성을 위해 jigger를 많이 사용합니다.


7) Muddle

재료를 짖이겨 그 안의 즙이나 향을 내는 기법입니다. 보통은 muddler라는 기구를 이용하지만, 바 스푼의 뒷면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모히토 등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8) Rolling

두개의 믹싱 글라스를 준비해 자료를 양 쪽에 번갈아 부어주면서 부드럽게 섞는 기법입니다. 뜨거운 물을 식히기 위해 두 컵을 이용해 서로 번갈아 붓는 방법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블러드메리와 같은 칵테일을 만들때 사용합니다.


9) Strain

칵테일을 만든 후 얼음이나 과일 등의 건더기를 거르는 기법을 말합니다. 


---------------------------

칵테일 글라스의 종류[각주:3][각주:4]


1) Highball

highball_glass

 

용량 : 350~400ml

보통 탄산이 든 칵테일에 많이 사용합니다


2) Old Fashioned / Rock

 lowball_glass

용량 : 250~300ml

위스키나 칵테일을 온더록 스타일로 마실 때 많이 사용합니다.


3) Cocktail / Martini


용량 : 250ml

가장 일반적인 칵테일 잔인것 같군요. 밑이 좁아 쏟아지기 쉬우니 조심하랍니다...?? 양도 제가 참고한 사이트에서 잘못 기재한 듯 싶습니다. 저렇게 많은 양이 들어갈리가 없는데 말이죠. 많이 담아야 100ml 정도이지 않을까요?


4) Margarita / Coupette

용량 : 250ml

입구가 넓어 주변에 소금을 바른 형태나 프로즌 칵테일에 많이 쓰입니다.


5) Shot 


용량 : 25~30ml

위스키나 데낄라와 같은 술을 스트레이트로 마실 때 사용합니다.


6) Hurricane


hurricane_cocktail_glass

용량 : 300ml

열대 과일 맛이 나는 상큼하고 시원한 칵테일에 주로 사용합니다.


7) Liqueur / cordial

Elgin Sherry / Liqueur Glass 1oz / 3cl

용량 : 25~30ml

리큐어를 마실 때 사용합니다.


8) Champagne Coupe / Saucer


용량 : 120~240ml

루이15세의 애첩 퐁파두르의 가슴을 본따 만들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글라스입니다. 그러나 잉글랜드에서 1663년에 이미 만들어져 있었다고도 합니다.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에 특화되어 있는 잔입니다.[각주:5] 건배용이나 양이 많은 프라페, 프로즌 칵테일에 주로 쓰입니다.


9) Champagne Flute



용량 : 90~180ml

삼페인의 기포가 올라오는 것이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가늘고 긴 형태의 글라스입니다. 탄산이 잘 빠져나가지 않아 탄산을 넣은 칵테일 글라스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10) Irish Coffee glass

아이리시 커피 글라스


두껍고 손잡이와 받침이 잇는 형태로 따뜻한 칵테일에 많이 사용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글라스들이 있는데요. 맥주용 글라스, 와인용 글라스 등 다양합니다. 일단은 요정도만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http://www.bartender.or.kr/beverage_theory/14993 [본문으로]
  2. https://craftybartending.com/bartending-techniques/ [본문으로]
  3. http://www.cocktailmixingmaster.com/cocktail_glass.html [본문으로]
  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62233&cid=48182&categoryId=48272 [본문으로]
  5. https://en.wikipedia.org/wiki/Champagne_glass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