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bstory/관심종목이야기

NI스틸- 수상한 주가흐름 실적바닥?

호두밥 2019. 5. 18. 10:53

 

안녕하십니까 밥입니다. 이번에 소개시켜드릴 종목은 NI스틸입니다.

 

먼저 어떤 일을 하는지 살펴봅시다. 

 

1972년 12월에 신창강업으로 설립되었으며, 최대주주는 문배철강임. 포항과 당진, 광양에 생산공장이 있음.

1차금속 부문의 철강제품 제조 및 판매업, Sheet Pile 리스, 철강재 임가공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가 새로 개발하고 생산시설을 완비한 Deck Plate와 Steel Curtain Wall은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와 함께 공사기간의 단축 및 원가 절감, 건물외관의 개방성 등을 이유로 사용이 점차 확대됨.

 

라고 합니다. 사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철강업을 영위하는 기업이고 대형건축물 제작이 많아지면 강점이 있을 듯 합니다.

 

제가 이 기업에서 의문이 든 점은 바로 이것입니다.

 

 

보면 최근 상승을 기관이 주도했으며 어제 하락때도 오히려 매수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심지어 현재 시가총액이 770억밖에 안되는 기업이며 최근 상승 전에는 시총이 700억도 안되는 기업이었다는 것이겠죠?

 

이런 작은 기업에 기관계가 진입하는 게 수상하다고 여겨져서 분석을 시작했습니다.

 

다음으로 수상했던 점입니다. 매축액은 22.28% 감소햇으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0%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딱 보면 그냥 실적이 안좋아졌구나 판단할 수 있겠죠?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왜 기관은 여기에 투자를 결정했을까요? 좀 더 찾아봅시다.

 

첫 단서는 이 경쟁요소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아래 문단에서 보면 내진 설계에 적합하고 지진이 발생할 경우 보수 및 보강이 용이하다고 합니다.

 

최근에 지진이 많이 나타나고 있죠? 그데 따라 내진설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파악할 수도 있고 정부에서 지진발생지역의 경우 내진설계 의무화가 가시적으로 상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지진관련주로 엮여있기도 하겠네요.

 

다음으론 덱플레이트와 스틸커튼월의 매출비중이 늘어나는 것은 아닌가 생각합니다.

 

에프엔가이드에 새로 개발했다고 나온 내용이며 앞으로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말하는 것에서

 

이에 대한 매출비중증가가 가시적인 성과로 나오는 근거가 있다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다음으로는 가동률을 봤습니다.

 

가동률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추가생산이 가능하다고 긍정적으로 볼 수 있고, 설비에 과다하게 투자해 놓았다고 판단할 수도 있겠네요. 애매합니다.

 

 

저는 여기서 기관이 자금투입결정을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대손충당금 설정률이 약 8.5%입니다.

 

관계회사인 분배철강의 대손충당금이 1,2%수준인데 비해서 꽤 큰 수준이죠.

 

이 말은 실적이 8%정도 저평가되어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다른 철강회사들을 보니 1,2%수준에서부터 최고 20% 수준까지 다양하긴 합니다만

 

8%면 꽤 높게 대손충당금이 설정되어있으며 당기순이익이 100억규모인데도 보수적으로 설정했다는 의미가 될 수 있겠네요.

 

이제 그럼 차트를 보겠습니다.

 

먼저 월봉차트입니다. 월 120선을 돌파, 이탈 후 재돌파했습니다. 월120선이 기준가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다음 주봉차트에서는 20선에서 돌파, 이탈 후 재돌파를 하면서 20선이 기준가가 되어있고 60선이 저항일 수 있을 것 같긴 합니다.

 

마지막으로 일봉차트입니다. 최근 60선을 돌파실패했다가 돌파에 성공한 모습입니다. 이제 60일선을 지지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겟죠? 

 

 

밥의 생각입니다. 최근 시장이 안좋음에도 불구하고 버텨주고 있는 것을 보니 힘은 있어보입니다. 

 

또 일, 주, 월봉상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가격대가 다 모여있는 모습으로 이 구간에서 지지받을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그렇다면 일봉상 60선을 기준으로 대응하면서 월봉 120선, 주봉 20선에서 차근차근 분할로 진입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반응형